텍스트 기능 연구 -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영문: A study on the function of Text - especially with models of communications)


【목 차】..............................................................................................


영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기호모형과 의사소통모형

3.1. 기호모형

  3.1.1. Saussure의 기호모형

  3.1.2. Ogden/Richards의 기호모형

3.2. 의사소통모형

  3.2.1. Saussure의 의사소통모형

  3.2.2. Bloomfield의 행동주의적 의사소통모형

  3.2.3. Bühler의 의사소통모형

  3.2.4. R. Jakobson의 의사소통모형


4. 결론



[국문 요약]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텍스트 기능, 혹은 사용상의 의미가 발생하는가의 문제, 즉 텍스트의미의 발생과정을 기존의 기호 및 의사소통 모델에서 밝혀보려 하였다. 잘 알려진 모델 중에서 기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Ogden/Richards의 기호모델과 Bühler의 의사소통모델 그리고 그것을 확대시키려고 시도한 Jakobson의 모델을 들 수 있다. Ogden/Richards의 기호모델은 Saussure의 기호모델에서처럼 기호자체의 기능이 아니라 기호가 사용될 때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동적 모델로 생각할 수 있다. Bühler의 의사소통 모델은  Saussure에서나 Ogden/Richards의 삼각모형에서처럼 일원적으로 ‘지시적 기능’만을 나타내 주는 것이 아니라, 상징, 징후, 신호등과 같이 삼원적으로 쓰이며, 이러한 ‘사용상의 의미’의 유형이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해 말해주는 체계적인 모델이다. R. Jakobson의 모델은 기능상으로 볼 때, Bühler를 능가하는  면은 없지만 기호의 기능을 동적으로 상세히 고찰한 장점이 있다.

기존의 의사소통 모델을 살펴보는 가운데서 우리는 두 가지 종류의 상이한 의사소통을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즉 ‘(누구에게) 무엇을 전달한다((jemandem) etwas mitteilen)’ 와, 그에 대비되어 ‘자신을 누구에게 알리다(sich jemandem mitteilen)’ 그리고 ‘누구와 소통하다(mit dem anderen in Verbindung treten)’로 대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지시기능’과 대비되어 ‘표현기능’과 ‘호소기능’은 다른 층위에서 작동한다. 지시기능은 기호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인 반면, 표현기능과 호소기능은 항상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난다. 누구에게 무엇이 전달되지 않았다고 해서 우리는 그러한 표현에서 언어의 특성이 없다고 말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종류의 의사소통과는 달리, 후자의 의사소통이 바로 언어의 본질을 이루는 것이다. 발화는 언제나 어떤 경우에서라도 상대방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비록 청자가 발화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그리고 독백의 경우에도 자기 자신을 ‘너’로 지칭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언어는 항상 또 다른 주체로서의 상대방을 위해 존재한다. 이 말은 곧 대화의 기본은 ‘상호존중(Alterität)’에서 출발한다는 W. v. Humboldt의 명제와 관련된다.



<핵심어> ‘사용상의 의미’, 정적 모델, 동적 모델, ‘지시적 의미’, ‘개별 언어적 의미’,  ‘징후’, ‘신호’, ‘상징



[영문 요약]

       A study on the function of Text - especially with models of communications

 

This study is aimed at the problem: how occurs the function of text or “Sinn” in term of E. Coseriu in the commnication? For this purpose I surveyed the existing well known communication models in critical view. I had already published the study of “Sinn” in the various 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located language sign and many other factors (Lie 2000). This study deals with a sort of dynamic function contrast to static function as object of the previous study.

The model of Saussure is a sort of static model in contrast to model of Ogden/Richards, which can be regarded as dynamic communication model at first time, because it deals with function of language in use. The model of Bühler has three types of function:  “Anzeichen”, “Signal” and “Symbol” according to his triarde relation between sign to three elements, i.e. speaker,  hearer and object. I have criticized the model of Jakobson and found that his model has just the same three functions as the model of Bühler, even if her asserts that separate six functions belong to each six elements in communication.   

Roughly we can devide two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s: ‘tell  something (to whom)’ vs ‘tell self to whom’ or ‘connect self to whom’. The latter type of communication reveal the essential character of language, that is, a speech already presuppose the other, i.e. hearer as another ‘subject’, what is related to “Alterität” in W.v. Humbol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