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n aspektueller Verbalperiphrasen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Inhaltsverzeichnis⼘⼘⼘⼘⼘⼘⼘⼘⼘⼘⼘⼘⼘⼘⼘⼘⼘⼘⼘⼘⼘⼘⼘⼘⼘⼘⼘⼘⼘⼘⼘⼘⼘⼘⼘⼘⼘⼘⼘⼘⼘⼘⼘⼘⼘⼘⼘⼘

0. Einleitung

1. "Verba adiecta" und Verbalperiphrase

1.1. Allgemeine Verbklassen im Koreanischen

1.2. Die Bedeutung des koreanischen Verbs ha.ta

1.3. Allgemeine Verbklassen im Deutschen

2. Aspektuelle Verbalperiphrasen in den beiden Sprachen

3. Das gemeinsame semantische Merkmal der Hilfsverben in den beiden Sprachen

4. Schluß: Grammatikalisierungsgrad der Verbalperiphrasen und Typen der Verbalperiphrasen

⼇ Literaturverzeichnis

⼇ 국문요약

국 문 요 약

한국어와 독일어의 상적 구절의 유형

이전의 연구(한국어와 독일어의 문법 구절 분석, 이강호 2000)에서 필자는 조동사의 문법적 기능과 구절 전체의 기능을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양 국어에서 문법구절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렇게 확인된 문법구절을 이루는 요소 중에서 우선 구절 내에서 도구적 기능을 담당하는 조동사의 의미론적 공통점과 상이점을 비교하고, 이어서 상적 구절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상적 구절을 의미론적으로 부류를 지었으며, 양 국어에서 상적 구절이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전 연구(이강호 2000)와 같이 "수식동사(verba adiecta)"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체 동사체계 내에서 구절을 이루는 조동사를 각 언어마다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가운데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에서는 상적 구절을 이루는 조동사가 다양한 반면, 독일어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는 동사부 전체의 체계(System) 층위에서 볼 때, 한국어는 시제를 나타내는 조동사가 없는데 반하여 독일어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것과 서로 연관관계가 있는 듯하다. 그리고 문법화가 가장 활발한, 혹은 달리 말해 "도구적 기능"을 가진 한국어 조동사 하다는 여러 문법범주에 두루 나타나 쓰이고 있으나, 이 정도로 문법화된 조동사가 독일어 체계 내에서는 없다.

한국어와 독일어가 여러 언어의 층위에서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면 이는 개별언어의 기능 연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이론의 층위에서도 밝혀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선 양 개별언어의 조동사의 문법적 기능과 본래 가지고 있던 어휘적 기능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러한 것으로서 양 국어에 공히 원래의 어휘적 의미의 "특성(Merkmal)"이 빈약한 조동사들이 구절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양 개별언어에서 상적 구절을 이루는 조동사가 원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가 쓰였다는 점은 언어이론의 층위에서 흥미로운 사실이다. 한국어에는 이러한 의미의 조동사와 상적 구절이 풍부함에 반해 독일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다.

구절 전체는 관찰자의 시점이 포함되는냐의 여부에 따라 주관적 구절유형과 객관적 구절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한국어의 상적 구절은 주관적 유형에 속한다. 반면 독일어에서 시제를 나타내는 구절은 주관적 유형으로, 그리고 상적 구절은 객관적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절의 유형과 관계해서도 양 국어에 공히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주관적 구절유형에 속한 구절들은 양 국어에서 공히 문법화가 진행된 반면, 객관적 구절유형은 문법화가 덜 활발한 편이다. 다시 말해 객관적 구절 유형에 속한 구절들, 예를 들어 독일어의 kommen구절과 bringen구절은 문맥에 심히 의존되어 있는데, 필자가 택한 언어자료 즉 문학텍스트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구절을 볼 수 없었다.

핵심어: 수식동사, 동사부류, 도구적 기능, 상적 구절의 유형, 문법화

Stichwörter: verba adiecta, Verbklassen, instrumentelle Funktion, Typen aspektueller Verbalperiphrasen, Grammatikalisierung

(실린 곳: 독어교육 제 21집, pp.23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