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범주

  1. Verbale Aspektualitaet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mit bersonderer Beruecksichtigung der aspektuellen Verbalperiphrasen (한국어와 독일어의 相연구 - 상적 구절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Tuebingen, 1991
  2. 독일어의 문법적 범주로서의 相연구 (I) - kommen구절유형과 bringen 구절유형을 중심으로, 여암 장기욱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1989, pp.72-107
  3. 독일어의 시제와 상에 관한 연구 - 시제 형태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 21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1, pp. 199-203
  4. Analyse der grammatischen Verbalperiphrase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한국어와 독일어의 문법구절 분석), 독어교육 제 19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0, pp.239-263
  5. Typen aspektueller Verbalperiphrasen im Koreanischen und im Deutschen (한국어와 독일어의 상적 구절 의 유형), 독어교육 제 21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1, pp.231-254

 

언어이론

  1. 기능언어학적 서술의 4가지 기본원리, 인문논총 제 24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4, pp. 42-70
  2. "System", "Norm" und "Rede" nach E. Coseriu (언어의 3가지 층위), 독어교육 제 13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5, pp. 239-250
  3. 언어지식의 층위 - 문화적인 언어능력을 중심으로, 독어학 제 11집, 2005, S.235-260
  4. Prinzipien der allgemein-sprachlichen Kompetenz, 독어교육 제 24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5, pp.169-192
  5. Die allgemein-sprachliche Kompetenz (일반 언어적인 언어능력), 독일문학 제 98집(=제 13회 2005 설악 국제심포지움 발표논문), 한국독어독문학회, 2006, S.81-98

의미론

  1. 의미(Bedeutung)의 문제 - J.P.Grice의 '의미'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죽포 정경석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1986, pp.95-112
  2. "의미의 3가지 종류(Bedeutung, Bezeichnung, Sinn)"와 기능언어학, 인문논총 제 25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5, pp. 273-292

 

통사론

  1. N.Chomsky의 최소주의 이론의 업적과 한계(I) - "동사구내 주어가설"을 중심으로, 人文論叢  제 27집, 제 27권,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7, pp. 221-248
  2. N.Chomsky의 최소주의 이론의 업적과 한계(II) - "주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人文論叢 제 28집, 제 28권,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8, S.201-222
  3. 독일어의 장소 전(후)치사의 의미와 통사구조, 독어교육 제 45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9, pp. 197-222

 

대우법

  1. 우리말의 대우법연구 - 주체대우법의 문제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 23집,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1993, pp. 157-181
  2. Das Honorativsystem des Koreanischen und verbale Hoeflichkeit im Deutschen unter Beruecksichtigung pragmatischer Aspekte (우리말의 대우법체계와 독일어의 공손한 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 독어교육 제 15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7, pp. 191-216

 

응용언어학

  1. Bemerkungen zu Problemen in der kontrastiven Linguistik (비교언어학의 문제점), 독어교육 제 11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3, pp. 67-83
  2. Kontrastive Linguistik und Fremdsprachenunterricht (비교언어학과 외국어 교육), 독어교육 제 12집,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4, pp. 5-16

 

생략현상

  1. 독일어의 생략현상 연구(I) - 생략의 기본원리와 규칙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16,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1998, pp.127-147
  2. 독일어의 생략현상 연구(II) -언어적 문맥에 의한 생략의 유형을 중심으로-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3집, 1998, pp.284-313

 

문학

Gottfried Keller의 작품에 나타난 Humor기법연구 - "Die Leute von Seldwyla"를 중심으로, 1983 (=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텍스트언어학

  1. 문장과 텍스트의 층위 - 문장과 텍스트의 완전성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제 6집, 1999, pp.229-254

  2. 텍스트 내에서의 언어기호의 기능, 텍스트언어학 제 9집, 2000, pp.39-66

  3. 세가지 언어능력과 '지양', 텍스트언어학 제 13집, 2002, pp.407-434

  4. 텍스트 기능 연구 - 의사 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제 19집, 2005, pp.319-343

 

언어변천

현대독일어의 새로운 언어변화의 특징 - 문법화를 중심으로, 독일 어문학 제 14집, 9권 1호, 독일 어문학회, 2001, pp.      303-327

 

언어유형

1. Universalien der Sprache( langage )  und Universalien der Sprachwissenschaft - die Leistungen und Grenzen der Universalienforschung von N.Chomsky(언어의 보편성과 언어학의 보편성 - N. Chomsky의 언어유형 연구의 업적과 한계), 독일문학 제 86집(=제 10회 2002 설악 국제심포지움 발표논문),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pp. 39-56)

 2. 독일어의 불변화사 동사 분석 - 언어유형학적인 범주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 교육학회, 2008, pp.109-132

 3. Analysis of Linguistic Expressions for motion events in English, German and Korean, the 18th Interanation Congress of Linguistics (=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s), Juli 26, 2008,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인지의미론

1. 독일어와 영어의 이동 도식과 장소 도식 - 개념화의 과정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 25집,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9, pp. 49-68

2. 독일어의 주관적 이동표현과 은유의 이동 도식, 독어교육 제 48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0, pp. 97-120

3. 독일어와 영어의 공간 표현과 작용역 구조의 의미 - ‘지시적 의미’와 ‘개별 언어적 의미’의 의미구분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51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1, pp. 257-279

4.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관계사의 의미 분석 - 영어의 over, 독일어의 über, 한국어의 (-의)위에, 중국어의 上方/ 上面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제 122집, 2012, pp. 125-147

5.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은유적 이동의 양상, 독어교육 제 55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2, pp. 95-118

6. 독일어와 영어 환유의 대조 연구, 독어교육 제 56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 pp. 233-257

7.  은유 및 환유의 언어보편성과 다양성 - ‘에 대한 개념적 은유를 중심으로 , 독어교육 제 58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pp. 75-105

8. 은유 및 환유의 언어보편성과 다양성 - ‘눈’ 중심으로 , 독어교육 제 59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pp.103-144

9. 독일어, 영어의 이동 동사 은유와 언어유형, 독어교육 제 61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pp. 7-43

10. 직시동사의 문법화  - 독일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직시동사'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 62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5, pp. 157-190